[CCAN] 물리 계층

2022. 2. 20. 20:45·CCNA/이론
반응형

연결 유형

- 유선 연결과 무선 연결이 있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NIC )

- NIC는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사용된다.

- 유선 LAN : 유선 NIC , 무선 LAN : 무선 NIC

​

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트를 네트워크 미디어로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부터 완전한 프레임을 받아들여, 로컬 미디어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로 인코딩한다.

- 프레임으로 구성된 인코딩 된 비트는 엔드 장치 또는 중간 장치에서 수신된

​

물리 계층의 매체

​

Electrical Signals - 구리선 ( 전파 )

​

​

Light Pluse - 광케이블 ( 광 )

​

​

​

Microwave Signals - 무선 ( 전파 )

​

​

​

물리 계층의 특징

- Encoding

·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미리 정의된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

· 프레임을 코드로 나타낼 때 인코딩이라고 한다.

· 전파가 내려가면 0 올가라면 1을 의미한다.

​

- 신호 방식

· 비트를 나타내는 방법

· 물리적 계층 표준은 어떤 유형의 신호가 "1"을 나타내고 어떤 유형의 신호가 "0"를 나타내는지 정의할 수 있다.

· 긴 펄스는 1을 나타낼 수 있고 짧은 펄스는 0을 나타낼 수 있다.

​

대역폭

- 데이터를 전송할 매체 용량

- 디지털 대역폭은 주어진 시간 내에 한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흐를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측정한다.

- 대역폭은 때떄로 비트가 이동하는 속도로 생각되지만, 항상 일정하지 않아서 속도로 보면 안 된다.

- 매체가 같은 속도는 똑같으므로 이것을 나타낼 때는 속도로 표현한다.

- 대역폭은 속도가 아닌 데이터 양이다

​

처리량

- 주어진 시간 동안 미디어를 통해 전송된 비트를 측정한다. 이것을 속도라고 보면 된다.

- 한 시간 동안 지나갈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밴 드윗이라고 부른다.

- 일반적으로 많은 요인 때문에 물리적 계층 구현에 지정된 대역폭과 일치하지 않는다.

  · 교통량

  · 트래픽 유형

  · 소스와 대상 간에 발생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지연 시간

- Throughput : 지정된 시간 내에 전송된, 혹은 처리된 전체의 유효한 정보량

- Goodput : 지정된 시간 내에 전송된, 혹은 처리된 전체의 유효한 정보량에서 처리된 실제 데이터량

- Deadput : 정보량(Throughput) - 처리된 실제 데이터량(Goodput)을 데드 풋이라고 한다.

​

물리적 미디어 유형

- 포트마다 역할이 정해져 있고 포트마다 대역폭 또한 다르다 ( fa, giga )

- 스위치 포트는 2 계층의 역할을 하고 기가 포트는 3 계층의 역할도 한다.

​

구리 케이블 : 구리 매체의 특성

- 구리 케이블을 통해 전기 펄스가 전송된다.

- 감쇠 : 저항 때문에 신호가 길어질수록 신호가 약화된다.

- 모든 구리 매체는 엄격한 거리 제한을 따라야 한다.

- 전자기 간섭 또는 무선 주파수 간섭 : 구리 매체가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를 왜곡 및 변조한다.

  · 전자기 간섭(EMI) : crt모니터 옆에 컴퓨터를 켜면 화면이 지지직 거리는 것은 생각하면 된다.

  · 무선주파수 간섭(RFI) : 마이크를 쓰고 있을 때 문자를 보내면 마이크 소리가 튀는 현상이다.

- 누화 : 한 접속로의 신호가 다른 접속로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영향을 미치는 현상

  -> 서로 반대 방향의 회로 선(와이어) 쌍이 꼬아 효과적으로 누화를 무효화한다.

​

UTP 케이블

- 일반적인 네트워킹 매체

- 서로 색이 다른 꼬인 선 4쌍이고 RJ-45 커넥터로 마감한다.

​

특징

- 내부에 꼬여진 4쌍의 케이블이 각기 다른 꼬임 수로 꼬여져 있고 꼬임수를 다르게 하고 전기 회로의 두 전선을

가까이 배치하면 자기장이 서로 정확하게 반대가 되며 EMI 및 RFI 외부 신호가 무효화된다.

​

연결 표준

- UTP 케이블은 TIA/EIA가 제정한 표준을 준수한다.

Category 3 Cable

- 전화선(음성 통신)에 사용된다.

​

​

Category 5 and 5e Cable

- 데이터 전송에 사용한다.

-Cat5는 100Mb / s를 지원하며 1000Mb / s를 지원할 수 있지만 권장되지는 않는다.

-Cat 5e는1000 Mb / s를 지원한다

​

Category 6 Cable

- 데이터 전송에 사용한다.

- 추가된 분리기는 각 쌍의 선 사이에 있어 고속으로 작동할 수 있다

- 1000 Mb / s - 10 Gb / s 지원, 10 Gb / s 권장되지 않는다

 

케이블 유형

Ethernet Straight-through(이더넷 스트레이트 쓰루) : 다른 장비끼리 연결하는 경우

ex) 스위치와 PC, 라우터와 PC

Ethernet Crossover (이더넷 크로스오버) : 비슷한 장비끼리 연결하는 경우

ex) 스위치와 스위치, PC와 PC, 라우터와 라우터)

Rollover(롤 오버) : 이는 뒤집어서 꼬다리를 꼽은 상태로 콘솔 포트 전용이다.

​

STP케이블

- 꼬인 선을 한쌍씩 감싸는 포일 실드와 전체를 다시 금속 끈이나 포일로 감싼 형태이기 때문에

UTP보다 노이즈 방지 기능이 우수하다.

- 비용이 비싸고 설치하기가 어렵다.

​

동축 케이블

- 외부 재킷 하나와 구리 실드, 플라스틱 실드 하나와, 내부 구리로 된 코어 하나가 있으며 요즘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

구리 매체 안정성

- 구리 매체는 화재 및 전기 위험의 영향을 받기 쉽다.

​

광섬유 케이블 특성

- 장거리 및 고 대역폭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 감쇠가 적은 신호를 전송하고 EMI 및 RFI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비트는 빛 펄스(파동/점멸)로 광섬유에 인코딩 된다.

- 기업 네트워크, FTTH(집에서 쓰는 용), 장거리 네트워크, 해저케이블 네트워크 등등에 사용된다.

​

광섬유 매체 케이블 디자인

​

Core : 빛이 지나가는 부분

​

Cladding : 빛의 확산을 막는 부분

​

Buffer : 코어 및 Cladding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데 사용

 

 

섬유 매체의 유형

- 멀티모드 : 코어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빛의 각도를 여러 방향으로 조정이 가능하여 여러 신호를 넣을 수 있다.

- 싱글모드 : 얇고 멀티모드에 비해 5배 코어가 얇다.

​

- 코어는 보통 여러 개가 들어가고 8개가 들어간 경우 8 코어 광케이블이라고 부른다.

​

광섬유 커넥터

- 빛은 광섬유를 통해 한 방향으로 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전이중 작동을 지원하려면 두 개의 광섬유가 필요하다.

Straight-Tip (ST) 커넥터

- 돌려서 잠그고 푸는 1세대 광케이블

 

Subsciber Connector(SC) 커넥터

- 정사각형 표준 커넥터

 

Lucent LC Simplex 커넥터

- 작은 크기의 SC와 크기 때문에 인기가 많다.

 

DuplexMultimode LC 커넥터

- LC와 유사하지만 이중 커넥터를 사용한다.

 

보통 주황색 케이블은 다중 모드 케이블이고 노란색은 단일 모드 광섬유 케이블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작은 플라스틱 뚜껑으로 보호해야 한다.

​

섬유 케이블 테스트 ↓

광섬유 터미네이션(마감) 및 접합 오류

- Misalignment(오정렬) : 광섬유 매체는 결합 시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는다.

- End gap(끝 간격) : 매체가 스플라이스(붙인 부분)나 연결부에 완전히 닿지 않는다.

- End finish(끝마감) : 매체 끝이 잘 연마되지 않았거나 끝 부분에 먼지가 있다.

​

섬유 VS 구리

구현 문제
UTP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대역폭 지원
10 Mb/s - 10 Gb/s
10 Mb/s - 100 Gb/s
거리
상대적으로 짧음 (1-100 미터)
상대적으로 김 (1-100,000 미터)
EMI 및 RFI에 대한 내성
낮음
높음 (완전 면역)
전기 위험에 대한 내성
낮음
높음 (완전 면역)
매체 및 커넥터 비용
가장 낮음
가장 높음
설치 기술 필요
가장 낮음
가장 높음
안전 예방 조치
가장 낮음
가장 높음

무선 매체의 속성

- 무선 매체는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주파수를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의 2진수를 나타내는 전자기 신호를 전달

- 무선 관련 영역

  · 적용 범위 : 건물 및 구조물 및 현시 지형에 사용되는 건축 자재는 적용 범위를 제한한다.

  · 간섭 : 형광등, 전자레인지 및 기타 무선 통신과 같은 일반적인 장치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다.

  · 보안 :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없는 장치 및 사용자는 전송에 액세스 할 수 있다.

  · 공유 매체 : 한 번에 하나의 장치만 보내거나 받을 수 있으며 무선 매체는 모든 무선 사용자 간에 공유된다.

​

Wireless LAN

- Wireless Access Point(AP) : 사용자의 무선 신호를 집중화하고 이더넷과 같은 기존 구리 기반 네트워크 인프라 연결

- Wirelsee NIC adapters : 각 네트워크 호스트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 무선통신의 표준안은 802.11이며 b, a, g, n 식으로 발전해왔고 지금 현재는 2.4g와 5g 모두를 호환하는 ac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데이터 링크 하위 계층

- 논리적 링크 제어 ( LLC )

 · 네트워크 계층과의 소통한다.

 · 프레임에 사용 중인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식별한다.

 · IPv4 및 IPv6와 같은 여러 개층 3 프로토콜이 동일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즉, 이 영역은 소프트웨어적인 개념이 강하다.

- 미디어 액세스 제어

 ·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는 미디어 액세스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 데이터 링크 계층 주소 지정 및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 액세스를 제공한다.

 · 이더넷과 통신하여 구리 또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프레임 전송 및 수신한다.

 · Wi-Fi 및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기술과의 통신이다.

 · 즉, 이 영역은 하드웨어적인 개념이 강하다.

​

미디어 액세스 제어

- 패킷이 소스 호스트에서 대상 호스트로 이동함에 따라 다른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한다.

- 매체가 달라질 때마다 프레임의 헤더와 꼬리가 달라진다.

- 물리적 네트워크는 구리선, 광섬유 및 전자기파 신호,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 주파수 및 위성 링크로 구성된

  무선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물리적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

미디어에 대한 액세스 제공

- 경로에 따라 각 홉에서 라우터

  · 매체에서 프레임 수락

  · 프레임 캡슐화

  · 패킷을 새 프레임으로 다시 캡슐화

  · 해당 세그먼트의 매체에 적합한 새 프레임 전달

​

미디어 접근 제어

- 미디어 접근 제어는 도로로 들어가는 자동차의 입구를 규제하는 교통법규와 같다.

​

물리적 토폴로지

- 물리적 연결을 참조하고 라우터, 스위치 및 무선 액세스 지점과 같은 최종 장치와 인프라 장치가 상호 연결되는 방법을 식별

​

​

Point-to-Point : 두 엔드포인트 간의 영구 링크

​

 

허브 앤 스포크 : 중앙 사이트는 지점 간 링크를 사용하여 분기 사이트를 상호 연결한다.

​

 

Mesh : 고가용성을 제공하지만 모든 엔드 시스템을 다른 모든 시스템과 상호 연결해야 함 행정 비용과 물리적 비용은 상당할 수 있다.

​

​

 

논리적 토폴로지

- 네트워크가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논리적 신호 경로는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다.

Star : 엔드 장치는 중앙 중간 장치에 연결된다.

가운데에 스위치가 존재, 이더넷 스위치를 사용한다.

​

Extended Star : Star형 2개를 이어 붙인 형태

​

Bus : 레거시 네트워크에서 사용됨 전형적인 콜리전 도메인을 보여주는 토폴로지

​

Ring : Bus형과 달리 흐름 제어 기능이 있는 토폴로지

토큰을 사용하는 형식이라 콜리 전이 없다는 것이 큰 특징

​

이중 통신과 전이중 통신

- 반이중 통신 : 두 장치 모두 통신과 수신을 할 수 있지만 동시에 송수신은 불가능하다.

WAN이 해당 방식으로 동작

ex) 무전기

- 전이중 통신 :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ex) 서버에 달린 스위치, 전화기

​

미디어 접근 제어 메서드들

- 우발적 접근

  · 노드는 반 이중 방식으로 작동

  · 한 번에 하나의 장치만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매체의 사용을 위해 경쟁한다.

  · 버스형 토폴로지와 동일한 형태

- 제어 접근

  · 각 노드는 매체를 사용할 수 있는 고유한 시간이 있다.,

  · 링형 토폴로지의 설명과 동일한 형태

- 우발적 접근 ( CSMA/CD )

  · 반이중 이더넷 LAN망에서 사용된다.

  · 먼저 사용 여부를 확인한 뒤 사용하는 방식이며 충돌 발생 시 랜덤 한 대기시간을 부여하여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

Contention-based Access - CSMA/CA

- CSMA/CA

  · 미디어가 명확한지 탐지하는 방법 사용

  · 충돌을 감지하지 않고 전송하기 전에 기다림으로써 충돌을 피하려고 시도한다.

- 스위치를 사용하는 이더넷 LAN은 스위치와 호스트 NIC가 전이중 모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경쟁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

프레임 영역

- Header, Data(3 계층에서 패킷이 된다), Trailer

- 프레임 구조와 헤더, 트레일러에 포함된 필드는 3 계층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진다.

Frame Start, Stop : 프레임의 시작 한계와 끝 한계 식별

​

Addressing : 데이터 필드에서 3 계층 프로토콜 식별

​

Control : QoS와 같은 특수 흐름 제어 서비스를 식별

​

Data : 프레임 페이로드 (ex: 패킷 헤더, 세그먼트 헤더 및 데이터 포함)

​

​

Addressing : 목적지 MAC 주소 6Byte, 송신지 MAC 주소 6Byte

Type : 2Byte

Error Detection : 4Byte

총 18바이트 + Data(패킷의 최대량 1500Byte) -> 1518Byte

​

​

Layer 2 Addresses

​

​

옆 그림은 CRC는 보낼 때 한번 라우터 1에 도달할 때 1번, 라우터 1에서 보낼 때 1번

라우터 2에서 받을 때 한번 라우터 2에서 보낼 때 1번

목적지에 도달할 때 1번 총 6번 계산된다. 몇 번 계산되는지 잘 알아두자

​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CCNA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네트워크 프로토콜  (1) 2022.02.19
[CCNA] Router  (0) 2022.02.18
[CCNA] Network  (3) 2022.02.17
'CCNA/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CNA] 네트워크 프로토콜
  • [CCNA] Router
  • [CCNA] Network
잉여개발자
잉여개발자
풀스택 개발자를 목표로 잉여롭게 개발 공부도 하면서 다양한 취미 생활도 즐기고 있는 잉여 개발자입니다.
  • 잉여개발자
    잉여로운 개발일지
    잉여개발자
    • 분류 전체보기 (789)
      • 개발정보 (36)
      • 개발환경 (7)
      • 개발생활 (19)
      • React (141)
        • 이론 (23)
        • 기능 (12)
        • 실험실 (88)
        • 버그 (6)
        • 패스트캠퍼스 (9)
        • Npm (3)
      • React Native (28)
        • 공통 (6)
        • TypeScript (3)
        • JavaScript (18)
        • 버그 (1)
      • Next.js (30)
        • 이론 (13)
        • 실험실 (13)
        • 버그 (3)
      • Web (35)
      • 알고리즘 (202)
        • 풀이 힌트 (39)
      • JavaScript (47)
      • TypeScript (29)
        • 기초 (27)
        • 실험실 (2)
      • Node.js (13)
        • 이론 (0)
        • 기능 (3)
        • 실험실 (9)
        • 버그 (1)
      • 도커 (4)
      • CCNA (22)
        • 이론 (4)
        • 문제 (18)
      • 취미생활 (167)
        • 잉여로운 칵테일 (2)
        • 잉여의 식물키우기 (130)
        • 잉여로운 여행기 (11)
        • 잉여의 제2외국어 (21)
        • 잉여로운 책장 (2)
      • Java (1)
        • Java의 정석 (1)
      • 꿀팁 공유 (3)
  • 태그

    프로그래머스
    react
    다이소
    네이버 부스트캠프
    redux
    CCNA
    javascript
    알고리즘
    영어회화
    Node.js
    ChatGPT
    네트워크
    바질 키우기
    ReactNative
    Docker
    타일러영어
    Babel
    CSS
    next.js
    리액트
    typescript
    덤프
    타입스크립트
    바질
    리얼클래스
    webpack
    자바스크립트
    식물
    리얼학습일기
    영어독학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1
잉여개발자
[CCAN] 물리 계층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