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A] 덤프 3-5 문제

2022. 2. 28. 16:08·CCNA/문제
반응형

Which routing protocol is designed to use areas to scale large hierarchical networks?

◾RIP

◾OSPF

◾EIGRP

◾BGP

​

대규모 계층적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영역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라우팅 프로토콜은?

◾RIP

◾OSPF*

◾EIGRP

◾BGP

​

Which routing protocol uses link-state information to build a map of the topology for computing the best path to each destination network?

◾RIP

◾RIPng

◾OSPF

◾EIGRP

​

각 대상 네트워크에 대한 최상의 경로를 계산하기 위한 토폴로지 맵을 구축하기 위해 링크 상태 정보를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RIP

◾RIPng

◾OSPF*

◾EIGRP

​

After a network topology change occurs, which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can send an update message directly to a single neighboring router without unnecessarily notifying other routers?

◾IS-IS

◾RIPv1

◾RIPv2

◾EIGRP

◾OSPF

​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경된 후, 어느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 다른 라우터에게 불필요하게 통지하지 않고 바로 이웃한 단일 라우터로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가?

◾IS-IS

◾RIPv1

◾RIPv2

◾EIGRP*

◾OSPF

​

Which dynamic routing protocol was developed as an exterior gateway protocol to interconnect different Internet providers?

◾EIGRP

◾RIP

◾OSPF

◾BGP

​

어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인터넷 제공자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로 개발되었는가?

◾EIGRP

◾RIP

◾OSPF

◾BGP *

​

A network administrator is researching routing protocols for implementation in a critical network infrastructure. Which protocol uses the DUAL algorithm to provide almost instantaneous convergence during a route failover?

◾RIP

◾BGP

◾OSPF

◾EIGRP

​

네트워크 관리자는 중요한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구현을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연구하고 있다. 경로 페일오버 중에 거의 즉각적인 정합성을 제공하기 위해 DUAL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RIP

◾BGP

◾OSPF

◾EIGRP*

​

Which routing protocol sends a routing update to neighboring routers every 30 seconds?

◾RIP

◾BGP

◾OSPF

◾EIGRP

​

30초마다 라우팅 업데이트를 이웃 라우터에 전송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RIP*

◾BGP

◾OSPF

◾EIGRP

​

Which statement is an incorrect description of the OSPF protocol?

◾Multiarea OSPF helps reduce the size of the link-state database.

◾When compared with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s, OSPF utilizes less memory and less CPU processing power.

◾OSPF builds a topological map of the network.

◾OSPF has fast convergence.

​

OSPF 프로토콜에 대한 잘못된 설명은?

◾다면적 OSPF는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과 비교했을 때 OSPF는 메모리와 CPU 처리 능력을 적게 활용한다.*

◾OSPF는 네트워크의 위상 지도를 구축한다.

◾OSPF는 융합 속도가 빠르다

​

What happens when two link-state routers stop receiving hello packets from neighbors?

◾They create a default route to the adjacent router.

◾They continue to operate as normal and are able to exchange packets.

◾They consider the neighbor to be unreachable and the adjacency is broken.

◾They will flood their database tables to each other.

​

두 개의 링크 상태 라우터가 이웃들로부터 hello 패킷 수신을 중단하면 어떻게 되는가?

◾인접 라우터에 대한 기본 경로를 만든다.

◾일반적으로 계속 작동하며 패킷 교환이 가능하다.

◾그들은 이웃에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부관도 부서졌다.*

◾그들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서로에게 넘치게 될 것이다.

​

What are two features of the OSPF routing protocol? (Choose two.)

◾has an administrative distance of 100used primarily as an EGP

◾uses Dijkstra’s algorithm to build the SPF tree

◾automatically summarizes networks at the classful boundaries

◾calculates its metric using bandwidth

​

OSPF 라우팅 프로토콜의 두 가지 기능은 무엇인가? (2개 선택)

◾주로 EGP로 사용되는 100의 관리 거리를 가진다.

◾SPF 트리를 만들기 위해 Dijkstra 알고리즘 사용*

◾분류 경계에서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요약

◾대역폭을 사용하여 메트릭 계산*

​

What is maintained within an EIGRP topology table?

◾the hop count to all networks

◾all routes received from neighbors

◾the area ID of all neighbors

◾the state of all links on the network

​

EIGRP 토폴로지 표에서 유지되는 것은?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홉 수

◾주변에서 수신한 모든 경로*

◾모든 이웃의 영역 ID

◾네트워크의 모든 링크 상태

​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routing protocols?

◾In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to route on the Internet. Ex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inside organizations.

◾Ex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only by large ISPs. In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by small ISPs.

◾Ex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to administer a single autonomous system. In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to administer several domains.

◾In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to communicate within a single autonomous system. Exterior routing protocols are used to communicate between multiple autonomous systems.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과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차이점은?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라우팅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조직 내에서 사용된다.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대형 ISP에서만 사용된다.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소규모 ISP에 의해 사용된다.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단일 자율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여러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단일 자율 시스템 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여러 개의 자율 시스템 간의 통신에 사용된다.*

​

An OSPF enabled router is processing learned routes to select best paths to reach a destination network. What is the OSPF algorithm evaluating as the metric?

◾The amount of traffic and probability of failure of links.

◾The amount of packet delivery time and slowest bandwidth.

◾The number of hops along the routing path.

◾The cumulative bandwidth that is used along the routing path.

​

OSPF 지원 라우터는 목적지 네트워크에 도달하기 위한 최상의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학습된 경로를 처리하고 있다. OSPF 알고리즘이 메트릭으로 평가하는 것은?

◾교통량 및 링크 고장 확률.

◾패킷 전송 시간과 가장 느린 대역폭의 양.

◾라우팅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홉 수입니다.

◾라우팅 경로를 따라 사용되는 누적 대역폭.*

​

Refer to the exhibit. A network administrator has configured RIPv2 in the given topology. Which path would a packet take to get from the LAN that is connected to R1 to the LAN that is connected to R7?

◾R1–R3–R4–R5–R6–R7

◾R1–R4–R5–R6–R7

◾R1–R2–R6–R7

◾R1–R3–R2–R6–R7

​

전시를 참조하십시오. 네트워크 관리자가 지정된 토폴로지에 RIPv2를 구성했다. R1에 연결된 LAN에서 R7에 연결된 LAN으로 패킷이 이동하려면 어떤 경로를 택해야 하는가?

◾R1–R3–R4–R5–R6–R7

◾R1–R4–R5–R6–R7

◾R1–R2–R6–R7*

◾R1–R3–R2–R6–R7

​

Which two components of an LSP enable an OSPF router to determine if the LSP that is received contains newer information than what is in the current OSPF router link-state database? (Choose two.)

◾hellosquery

◾aging information

◾sequence numbers

◾acknowledgements

​

수신된 LSP가 현재 OSPF 라우터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것보다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OSPF 라우터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LSP의 두 구성 요소는? (2개 선택)

◾hell헬로스쿼리

◾정보 수집*

◾시퀀스 번호*

◾지식

​

What are two purposes of dynamic routing protocols? (Choose two.)

◾discover remote networks

◾provide network security

◾reduce network traffic

◾provide a default route to network hosts

◾select best path to destination networks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의 두 가지 용도는 무엇인가? (2개 선택)

◾원격 네트워크 검색*

◾네트워크 보안 제공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 네트워크 호스트에 기본 경로 제공

◾대상 네트워크에 대한 최상의 경로 선택*

​

What is the first step taken by a newly configured OSPF router in the process of reaching a state of convergence?

◾It floods LSP packets to neighboring routers.

◾It builds the topological database.

◾It learns about directly connected links in an active state.

◾It exchanges hello messages with a neighboring router.

​

새로 구성된 OSPF 라우터가 융합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취하는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인가?

◾LSP 패킷을 인접 라우터에 플러딩한다.

◾위상학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활성 상태에서 직접 연결된 링크에 대해 학습한다.*

◾이웃 라우터와 인사 메시지를 교환한다.

​

Refer to the exhibit. OSPF is used in the network. Which path will be chosen by OSPF to send data packets from Net A to Net B?

◾R1, R2, R5, R7

◾R1, R4, R6, R7

◾R1, R3, R5, R7

◾R1, R3, R5, R6, R7

◾R1, R3, R6, R7'

​

전시를 참조하십시오. OSPF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OSPF에서 Net A에서 Net B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어떤 경로를 선택할 것인가?

◾R1, R2, R5, R7

◾R1, R4, R6, R7

◾R1, R3, R5, R7*

◾R1, R3, R5, R6, R7

◾R1, R3, R6, R7

​

In the context of routing protocols, what is a definition for time to convergence?

◾a measure of protocol configuration complexity

◾the amount of time a network administrator needs to configure a routing protocol in a small- to medium-sized network

◾the amount of time for the routing tables to achieve a consistent state after a topology change

◾the capability to transport data, video, and voice over the same media

​

라우팅 프로토콜의 맥락에서, 융합까지의 시간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프로토콜 구성의 복잡성 측정

◾네트워크 관리자가 중소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

◾토폴로지 변경 후 라우팅 테이블이 일관된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

◾동일한 매체를 통해 데이터, 비디오 및 음성 전송 기능

​

Which two requirements are necessary before a router configured with a link-state routing protocol can build and send its link-state packets? (Choose two.)

◾The router has constructed an SPF tree.

◾The router has determined the costs associated with its active links.

◾The router has established its adjacencies.

◾The router has built its link-state database.

◾The routing table has been refreshed.

​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 구성된 라우터가 링크 상태 패킷을 작성하고 전송하기 전에 필요한 두 가지 요건은 무엇인가? (2개 선택)

◾라우터가 SPF 트리를 생성했다.

◾라우터는 그것의 활성 링크와 관련된 비용을 결정했다.*

◾라우터는 그것의 인접성을 확립했다.*

◾라우터는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라우팅 테이블이 새로 고쳐졌다.

​

Which two routing protocols are classified as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s? (Choose two.)

◾EIGRP

◾RIP

◾BGP

◾OSPF

◾IS-IS

​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로 분류되는 2개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2개 선택)

◾EIGRP*

◾RIP*

◾BGP

◾OSPF

◾IS-IS

​

Which two events will trigger the sending of a link-state packet by a link-state routing protocol? (Choose two.)

◾the router update timer expiring

◾the requirement to periodically flood link-state packets to all neighbors

◾a change in the topology

◾the initial startup of the routing protocol process

◾a link to a neighbor router has become congested

​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한 링크 상태 패킷의 전송을 트리거하는 두 가지 이벤트는? (2개 선택)

◾라우터 업데이트 타이머 만료

◾모든 이웃에 링크 상태 패킷을 주기적으로 플러딩해야 하는 요구 사항

◾위상의 변경*

◾라우팅 프로토콜 프로세스의 초기 시작*

◾이웃 라우터에 대한 링크가 혼잡해졌다.

​

Which feature provides secure routing updates between RIPv2 neighbors?

◾keepalive messages

◾routing protocol authentication

◾adjacency table

◾unicast updates

​

다음 중 RIPv2 이웃 간에 보안 라우팅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기능은?

◾보관 메시지

◾라우팅 프로토콜 인증*

◾adjacency 테이블

◾유니캐스트 업데이트

​

Which two protocols are link-state routing protocols? (Choose two.)

◾OSPF

◾EIGRP

◾RIP

◾IS-IS

◾BGP

◾IGP

​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2개는? (2개 선택)

◾OSPF*

◾EIGRP

◾RIP

◾IS-IS*

◾BGP

◾IGP

​

What is a disadvantage of deploying OSPF in a large single area routing environment?

◾OSPF uses a topology database of alternate routes.

◾OSPF uses excessive LSP flooding.

◾OSPF uses a metric of bandwidth and delay.

◾OSPF uses multicast updates.

​

대규모 단일 영역 라우팅 환경에서 OSPF를 배포할 때 발생하는 단점은 무엇인가?

◾OSPF는 대체 경로의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OSPF는 과도한 LSP 홍수를 사용한다.*

◾OSPF는 대역폭과 지연의 메트릭을 사용한다.

◾OSPF는 멀티캐스트 업데이트를 사용한다.

​

​

Which two pieces of information are used by the OSPF MD5 algorithm to generate a signature? (Choose two.)

◾secret key

◾ OSPF message

◾OSPF router ID

◾router hostname

◾interface IP address

​

OSPF MD5 알고리즘에서 시그니처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는 두 가지 정보는? (2개 선택)

◾비밀키*

◾ OSPF 메시지*

◾OSPF 라우터 ID

◾루터 호스트 이름

◾인터페이스 IP 주소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CCNA >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덤프 3-7 문제  (0) 2022.03.02
[CCNA] 덤프 3-6 문제  (1) 2022.03.01
[CCNA] 덤프 3-4 문제  (0) 2022.02.27
[CCNA] Chapter 5 문제  (0) 2022.02.25
[CCNA] Chapter 4 문제  (0) 2022.02.24
'CCNA/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CNA] 덤프 3-7 문제
  • [CCNA] 덤프 3-6 문제
  • [CCNA] 덤프 3-4 문제
  • [CCNA] Chapter 5 문제
잉여개발자
잉여개발자
풀스택 개발자를 목표로 잉여롭게 개발 공부도 하면서 다양한 취미 생활도 즐기고 있는 잉여 개발자입니다.
  • 잉여개발자
    잉여로운 개발일지
    잉여개발자
    • 분류 전체보기 (789)
      • 개발정보 (36)
      • 개발환경 (7)
      • 개발생활 (19)
      • React (141)
        • 이론 (23)
        • 기능 (12)
        • 실험실 (88)
        • 버그 (6)
        • 패스트캠퍼스 (9)
        • Npm (3)
      • React Native (28)
        • 공통 (6)
        • TypeScript (3)
        • JavaScript (18)
        • 버그 (1)
      • Next.js (30)
        • 이론 (13)
        • 실험실 (13)
        • 버그 (3)
      • Web (35)
      • 알고리즘 (202)
        • 풀이 힌트 (39)
      • JavaScript (47)
      • TypeScript (29)
        • 기초 (27)
        • 실험실 (2)
      • Node.js (13)
        • 이론 (0)
        • 기능 (3)
        • 실험실 (9)
        • 버그 (1)
      • 도커 (4)
      • CCNA (22)
        • 이론 (4)
        • 문제 (18)
      • 취미생활 (167)
        • 잉여로운 칵테일 (2)
        • 잉여의 식물키우기 (130)
        • 잉여로운 여행기 (11)
        • 잉여의 제2외국어 (21)
        • 잉여로운 책장 (2)
      • Java (1)
        • Java의 정석 (1)
      • 꿀팁 공유 (3)
  • 태그

    식물
    네이버 부스트캠프
    react
    webpack
    자바스크립트
    영어회화
    next.js
    타일러영어
    typescript
    영어독학
    리액트
    ChatGPT
    덤프
    바질 키우기
    CSS
    Node.js
    redux
    CCNA
    Docker
    알고리즘
    리얼클래스
    ReactNative
    바질
    프로그래머스
    타입스크립트
    Babel
    javascript
    다이소
    리얼학습일기
    네트워크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1
잉여개발자
[CCNA] 덤프 3-5 문제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