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MobX - React에서 사용하기
·
React/이론
카운터 만들기 yarn add mobx mobx-react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 observable, action, makeObservable } from "mobx"; import { observer } from "mobx-react"; class Counter extends Component { number = 0; constructor() { super(); makeObservable(this, { number: observable, increase: action, decrease: action, }); } increase = () => { this.number++; }; decrease = () => { this.number--..
바인딩
·
개발정보
1. 바인딩?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가 가질 수 있는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값, 성격을 확정하는 것을 말한다. String fruit = "apple"; 변수 선언을 예시로 들어본다면, String 은 변수의 자료형 fruit은 변수의 이름 apple은 변수의 자료값 변수의 속성의 구체적인 값이다. 이처럼 구체적인 값을 할당하는 과정을 바인딩이라고 한다. 바인딩은 일어나는 시간에 따라 정적 바인딩, 동적 바인딩으로 나뉜다. 정적 바인딩 컴파일 시간에 일어나며, 실행 중 변하지 않고 유지됨 함수의 정적 바인딩은 컴파일 시간에 호출될 해당 함수의 주소가 결정되어 바인딩 된다. 즉, 실행 파일에 호출할 함수가 위치한 메모리 주소가 이미 확정 기록된 것이다. 일반적인 함수는 정적 바인딩이 일어난다. 정적 바인딩은..
[알고리즘] 키패드 누르기
·
알고리즘
문제 설명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
[알고리즘]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
알고리즘
문제 설명 네오와 프로도가 숫자놀이를 하고 있습니다. 네오가 프로도에게 숫자를 건넬 때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꾼 카드를 건네주면 프로도는 원래 숫자를 찾는 게임입니다. 다음은 숫자의 일부 자릿수를 영단어로 바꾸는 예시입니다. 1478 → "one4seveneight" 234567 → "23four5six7" 10203 → "1zerotwozero3" 이렇게 숫자의 일부 자릿수가 영단어로 바뀌어졌거나, 혹은 바뀌지 않고 그대로인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의미하는 원래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참고로 각 숫자에 대응되는 영단어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숫자 영단어 0 zero 1 one 2 two 3 three 4 four 5 five 6 six 7 ..
[React] MobX - 시작하기
·
React/이론
MobX는 Redux와 같은 인기있는 React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이다. MobX의 주요 개념들 1. Observable State( 관찰 받고 있는 상태 ) MobX를 사용하고 있는 앱의 상태는 Observable하다. 즉, 관찰 받고 있는 상태이다. 앱에서 사용하고 있는 State는 변할 수 있고, 만약 특정 부분이 바뀌면 MobX에서 어떤 부분이 바뀌었는지 알 수 있다. 2. Computed Value ( 연산된 값 ) 연산된 값은 기존 상태값과 다른 연산된 값에 기반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값이다. 주로 성능 최적화를 위해서 사용된다. 어떤 값을 연산해야 할 때, 연산에 기반이 되는 값이 바뀔때만 새롭게 연산하고, 바뀌지 않으면 기존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800원짜리 물병을 4병 살..
[React] Webpack - 심화
·
React/실험실
1. 나무 흔들기 나무 흔들기(tree shaking)는 불필요한 코드를 제거해 주는 기능이다. 웹팩은 기본적으로 나무 흔들기 기능을 제공한다. 단, 웹팩에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나무 흔들기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번들 크기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다. npm install webpack webpack-cli // src/util_esm.js export const func1 = () => { console.log("func1_esm"); }; export const func2 = () => { console.log("func2_esm"); }; ESM(ECMAScript Modules) 문법을 사용하는 코드다. ESM에서는 import, export 등의 키워드를 사용한다. // src/u..
[알고리즘] 신규 아이디 추천
·
알고리즘
문제 설명 카카오에 입사한 신입 개발자 네오는 "카카오계정개발팀"에 배치되어, 카카오 서비스에 가입하는 유저들의 아이디를 생성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네오"에게 주어진 첫 업무는 새로 가입하는 유저들이 카카오 아이디 규칙에 맞지 않는 아이디를 입력했을 때, 입력된 아이디와 유사하면서 규칙에 맞는 아이디를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카카오 아이디의 규칙입니다. 아이디의 길이는 3자 이상 15자 이하여야 합니다.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 문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마침표(.)는 처음과 끝에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네오"는 다음과 같이 7단계의 순차적인 처리 과정을 통해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
[알고리즘] 오픈 채팅방
·
알고리즘
문제 설명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채팅방을 나간 후, 새로운 닉네임으로 다시 들어간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한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